반응형
안녕하세요! 😊
‘호칭 알아가기 2일차’ 포스팅으로 돌아온 기연술사입니다.
어제는 '동기 호칭'을 정리했었죠? 오늘은 그보다 더 헷갈릴 수 있는 **"시가 식구 호칭"**을 함께 알아볼게요.
결혼 후 처음 겪는 가족 호칭 문화에 당황하신 분들, 이 포스팅 하나로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!
1. 시가 가족 호칭표 한눈에 보기!
관계명칭호칭 예시
남편의 아버지 | 시아버지 | 아버님 |
남편의 어머니 | 시어머니 | 어머님 |
남편의 형 | 시숙 | 아주버님 |
남편 형의 아내 | 동서 | 형님 |
남편의 누나 | 시누이 | 형님 |
남편 누나의 남편 | 시매부 | 아주버님 |
남편의 남동생 | 시숙 | 도련님(미혼), 서방님(기혼) |
남편 남동생의 아내 | 동서 | 동서 |
남편의 여동생 | 시누이 | 아가씨 |
남편 여동생의 남편 | 시매부 | 서방님 |
2. 이렇게 기억하면 쉬워요!
- **부모님 호칭은 '아버님', '어머님'**으로 정중하게!
- 형제자매 중 형, 누나는 ‘형님’ 또는 ‘아주버님’
- 동생은 결혼 여부에 따라 달라져요
예를 들어 남편의 남동생이 미혼이면 ‘도련님’, 결혼하면 ‘서방님’이죠. - **여동생은 ‘아가씨’, 그 남편은 ‘서방님’**으로 구분!
3. 마치며 : 호칭, 꼭 이렇게 해야 하나요?
요즘은 가족 구성원끼리 합의한 방식으로 좀 더 편하게 부르는 경우도 많습니다. 예를 들어 "이름+씨", 또는 “형님”으로 통일하는 경우도 있고요. 다만 처음 인사드릴 때나 명절, 가족 모임 등 격식을 차리는 자리에선 여전히 전통 호칭을 사용하는 것이 예의랍니다. 🙏
저는 시숙이랑 처음 만나고는 계속 “형님”이라 부르다가, 시부모님께서 “그냥 민수 형이라 불러~” 하셔서 지금은 편하게 지내고 있어요.😊
가장 중요한 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라는 점, 잊지 마세요!
반응형
'올바른 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리 가족, 제대로 부르자! – 친척과 이모집 호칭 총정리 (0) | 2025.05.16 |
---|---|
호칭 알아가기 3일차 -외가와 처가 편 (0) | 2025.05.13 |
오늘의 호칭 제대로 알기 1일차, 가족 사이 호칭,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? (0) | 2025.05.11 |
국민의 세금으로 만든 공공미술, 왜 아무도 안 갈까? (0) | 2025.05.10 |
미국 첫 교황, 레오 14세(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)의 탄생 그는 누구인가? (2) | 2025.05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