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설날이나 추석 때, 혹은 가족 결혼식장에서
"저 분은 뭐라고 불러야 하지?" 하고 당황했던 경험,
한 번쯤 있으시죠? 🙋♀️🙋♂️
그럴 땐 바로 이 포스트를 꺼내 보세요.
헷갈리는 호칭, 제대로 알려드릴게요!
1. 친가(아버지 쪽) 친척 호칭 정리
관계명칭우리가 부르는 호칭
아버지의 큰형 | 백부, 중백부 | 큰아버지 |
아버지의 형수 | 백모, 중백모 | 큰어머니 |
아버지의 동생 | 숙부, 계부, 삼촌 | 작은아버지, 삼촌 |
아버지의 제수 | 숙모 | 작은어머니 |
아버지의 사촌형제 | 당숙, 종숙 | 당숙 |
사촌형제의 부인 | 당숙모, 종숙모 | 당숙모 |
아버지의 육촌 형제 | 재당숙, 재종숙 | 재당숙 |
육촌 형제의 부인 | 재당숙모, 재종숙모 | 재당숙모 |
아버지의 조카 | 종형제 | 사촌형제 |
아버지 조카의 아내 | 종수 | 사촌형수 또는 제수 |
형, 아우의 딸들 | 조카딸(조카사위) | 조카 |
조카의 아내 | 질부 | 조카며느리 |
사촌의 아들 | 당질 | 당질 |
사촌 아들의 아내 | 당질부 | 당질부 |
조카의 아들 | 종손 | 종손 |
➡️ 팁: “종○○”이 들어가는 경우, 대체로 5촌 이상 가까운 사이로 기억하시면 이해가 쉬워요.
2. 이모집(외가) 호칭 정리
관계명칭우리가 부르는 호칭
어머니의 여자형제 | 이모 | 이모 |
이모의 남편 | 이모부, 이숙 | 이모부 |
이모의 자녀 | 이종사촌 | 이종 |
이종사촌의 배우자 | 이종수 | 이종수 |
이종 누이동생의 남편 | 이종매부 | 이종매부 |
이종사촌의 자녀 | 이질 | 이질 |
이질의 아내 | 이질부 | 이질부 |
아버지나 어머니의 이모 | - | 이모할머니 |
➡️ 팁: 이모는 엄마의 ‘여자 형제’를 뜻하니, 이쪽은 대부분 ‘이종-’이 붙습니다.
3. 마무리 꿀팁!
- ‘백’ 자가 들어가면 보통 아버지의 형 뻘
- ‘숙’ 자가 들어가면 아버지의 동생 쪽
- ‘이종’, ‘이질’은 어머니 쪽 친척
- ‘종’, ‘당’, ‘재’는 친척 사이의 ‘촌수’를 나타내는 힌트!
우리말 속 호칭은 단순한 이름을 넘어서, 관계를 표현하는 문화입니다.
가족을 더 잘 이해하고, 정중하게 소통하는 방법이죠.
다음 가족 모임, 이제 당당하게 인사해보세요!
“어머, 당숙모 오셨어요~!”
“종손이 이렇게 컸네요!”
반응형
'올바른 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만(小滿)이 뭐예요? 초록이 짙어지는 계절, 작지만 가득한 순간 (0) | 2025.05.19 |
---|---|
물 흐르듯 외워지는 마지막 호칭 공부! 사돈간 & 고모집 호칭 총정리 (0) | 2025.05.17 |
호칭 알아가기 3일차 -외가와 처가 편 (0) | 2025.05.13 |
호칭 알아가기 2일차 - 시가 식구들과의 관계, 올바른 '호칭'부터 시작해요! (0) | 2025.05.12 |
오늘의 호칭 제대로 알기 1일차, 가족 사이 호칭,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? (0) | 2025.05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