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월 11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입니다. 대한민국의 뿌리를 세운 그 날의 의미와 역사적 배경, 우리가 이 날을 왜 꼭 기억해야 하는지 알아봅시다.
1. 이야기
대한민국의 시작, 상해에서 울려 퍼진 독립의 외침
“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.”
이 한 문장이 헌법 1조에 자리 잡기까지,
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의 피와 눈물, 그리고 나라를 되찾겠다는 간절한 염원이 있었습니다.
그 출발점이 바로 1919년 4월 11일,
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입니다.
역사적 배경 – 3.1운동의 연장선에서 태어난 정부
1910년, 일본 제국주의의 강압 속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는
그 이후 10년 동안 수많은 독립운동을 전개합니다.
그리고 1919년 3월 1일, 민족 전체가 하나 되어 외쳤던 3.1 독립운동이 전국을 뒤흔들었고,
바로 그 다음 달, 그 정신을 이어받아 민주공화국 형태의 정부가 수립됩니다.
📍 날짜: 1919년 4월 11일
📍 장소: 중국 상하이 프랑스 조계지
📍 이름: 대한민국 임시정부
임시정부가 우리에게 남긴 유산
1. 헌법으로 선포한 민주공화국
4월 11일에 임시헌장을 발표하면서,
‘왕이 없는 나라’, ‘국민이 주인인 나라’, 바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이 시작됩니다.
📜 “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으로 한다.” –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
이보다 앞서 헌법 속에 민주공화제를 명시한 나라는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뭅니다.
2. 독립운동의 구심점이 되다
이후 임시정부는 이승만, 김구, 안창호, 이동휘, 조소앙 등
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의 활동의 본부가 되었고,
국내외에서 외교, 군사, 언론 활동을 통해 독립운동을 이끌었습니다.
3.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뿌리
1945년 광복 이후,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은
사실상 임시정부의 법통과 정신을 이어받은 것입니다.
이는 1987년 개정된 현행 헌법에서도 명시되어 있습니다.
📜 대한민국 헌법 전문:
“...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…”
왜 ‘임시정부 수립일’을 더 많이 알려야 할까요?
현재 8.15 광복절, 3.1절에 비해 임시정부 수립일인 4월 11일은
많은 사람들이 아직 잘 기억하지 못합니다.
그러나 이는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처음으로 설계되고 탄생한 날입니다.
광복의 출발점이자, 헌법의 뿌리이며,
우리가 지금 이 땅에서 자유와 권리를 누릴 수 있는 근본적인 시작점입니다.
일제히 조명을 받고 있는 최근 흐름
최근에는 4월 11일을 ‘법정 기념일’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,
몇몇 학교에서는 **‘대한민국 탄생일’**로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기도 합니다.
서울시는 4월 11일에 태극기 게양을 권장하고,
국가보훈처도 각종 기념행사를 마련하고 있습니다.
우리가 할 수 있는 작은 실천
- 📅 4월 11일, 달력에 임시정부 수립일을 표시해보기
- 🇰🇷 태극기 게양하기
- 📚 임시정부 관련 콘텐츠, 다큐, 책, 영화 한 편 보기
- 🧒 아이들과 함께 임시정부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기
2. 마무리 한 마디
1919년 4월 11일,
국권을 잃은 민족이 뿌리를 세우고,
자유를 향한 여정을 시작한 **대한민국의 ‘탄생일’**입니다.
그 날이 있었기에
오늘 우리가 “대한민국 국민입니다”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이겠죠.
👉 오늘 하루,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미를
가슴 깊이 새기고 살아가는 건 어떨까요?
모두가 함께 기억하고 되새길 수 있는 4월 11일이 되길 바랍니다.
'올바른 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탄핵 이후, 우리는 무엇을 잊지 말아야 하는가? (2) | 2025.04.11 |
---|---|
4월 16일, 국민안전의 날 (3) | 2025.04.10 |
4월 1일, 만우절의 기원과 숨겨진 이야기 (0) | 2025.04.01 |
편향된 유튜브 알고리즘 시대, 대한민국은 어떤 법이 필요할까요? (1) | 2025.03.21 |
영원히 기억될 천사, 이슬비 선생님을 기리며 (1) | 2025.03.20 |